
원티드 그로스부문 부문장, 서민웅
리더로 일한다는 것
안녕하세요, 원티드랩 데이터팀 Data Quality & Governance Manager 최자연입니다.
원티드에 DQGM 직무로 1년을 보낸 기념 회고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편히 읽어주세요!😊
Data Quality & Governance Manager(DQGM)는 데이터 관련 일을 하는 사람이라도 다소 생소 할 수 있는 직무인데, 쉽게 말해 데이터의 정책을 관리하고 품질 유지/보수하는 Role이다.
DQGM으로 일하기 전, Data Analyst로 데이터 분석, 분석용 테이블 아키텍쳐 설계, 시각화, QA 까지 데이터의 전반적인 흐름을 다뤘다. 분석가로써 의사결정을 돕는 데에도 힘을 썼지만, 쌓인 데이터들의 정합성을 검증하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았었다.
데이터 종사자 모두가 수긍하는 말로 “garbage in garbage out” 이 있는데, 분석 전 개발자들과 아키텍쳐 셋팅 단계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쌓을 것인지, 원하는대로 데이터가 잘 들어오고 있는지 QA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보낸 것이다. 아마 데이터 정합성에 대한 니즈는 그 때부터 집착하고 있었던 것 같다.
Data Analyst 직무로써는 이런 일까지 더하여 다소 많은 task를 짊어지고 있던 터라, 커리어 Role에 대한 방향성과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을 끊임없이 가지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에 원티드랩의 Governance Manager라는 채용공고를 보게 되었다. 처음 보는 직군이었는데 굉장히 솔깃했다. 이런 직군을 따로 구하고 있는 것을 보아 ‘데이터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회사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고, 바로 [지원 하기] 버튼을 눌렀다.
데이터 DQGM의 Role을 굵직하게 나눠보면 Data Quality, Data Architecture, Data Management, Data Catalog, Data Governance 로 나눠볼 수 있다. 각 부분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면,
1년을 보내면서 느낀점
모든 직무가 그렇겠지만, DQGM은 뚜렷하게 Hard Skill과 Soft Skill이 둘 다 필요한 직무라고 생각한다. 서비스가 운영되면서 매 순간 씩 쌓이는 데이터(=자산)들을 어떻게 관리할 지 엔지니어&분석가와 끊임없이 소통해야하며, 그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신기술도 계속해서 익혀나가야하기 때문이다. 특히 데이터를 적재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필요성(특히 log성 데이터)을 인지하는 부분부터 코어나 서버팀과 달라서, 신기하기도 하면서 좁히기 힘든 영역인 것 같다.
돌이켜 생각해 보니 1년 전에는 너무나도 거침없이 직무 변경을 도전했지만, 지금 다시 ‘Data Analyst에서 DQGM으로 지원해 볼까?’ 하는 상황이 온다면 잠시 다시 생각 해 볼 것 같다. 하지만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회사의 목표와, 열정과 실력을 겸비한 팀원들과 함께 일 하는 환경이라면 지금처럼 무조건 YES라고 답할 것 같다. 예전에도 그랬지만 일하면서 가장 필요한건 성장을 함께 할 수 있는 동료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DQGM으로써 일할 때 가장 기쁜건, 많은 구성원들과 마주하면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도 1년 전과 비교했을때 많이 성장 한 것 같고! 다음에 또 기회가 된다면(부지런해진다면) 업무에 대한 자세한 회고록을 가지고 오길 바라며.
리더로 일한다는 것
HR 트렌드 리포트
원티드 사람들
리더로 일한다는 것
원티드 사람들
원티드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