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의 재료 수집법
신입 때 키운 기획력이 동기보다 5년 앞선 커리어를 만든다
많은 이들이 기획력이라고 하면 나와는 거리가 있고,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우리는 매일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을 자신도 모르게 하고 있다. 기획이라는 것이 꼭 문서로만 되는 것이 아니고 말이나 대화로도 되는 것이어서 성공의 필수요건이라고 무방하다.
저는 첫 직장인 군대에서 일 못하는 고문관 장교였어요. 매번 보고만 들어가면 박살이 나는 시기가 한 달 반 정도 있었어요. 인생에서 가장 힘든 상황이었죠. 상사에게 기획한 것을 가지고 가서 보고한다는 것이 너무 무섭고, 기획한다는 것, 보고한다는 것 자체에 너무나 두려운 상황이 많았습니다.
블랙박스라는 느낌이 그 느낌을 잘 표현하는 단어였습니다. 보고서를 가지고 들어가면 빨간펜으로 제 보고서를 난도질하고, 꼭 제가 모르는 것만 물어보는데 도대체 저 사람이 무엇을 물어볼지 알 수가 없어서 블랙박스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때 제일 많이 들은 욕이 병사보다도 못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장교인 저에게는 부끄럽게 생각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매일 밤 ‘군대 생활 대충 때우고 사회 나가서 잘할까? 그런데 군대에서도 못하면 사회에서는 더 못할 것 아닌가?’ 등의 고민을 해보았지만 뚜렷한 답을 얻을 수 없는 시간이 이어졌죠. 그러던 어느 날 문득 이렇게 마음을 고쳐 먹었습니다.
‘내 기필코 저 인간에게 인정을 받으리라’
물론 그렇다고 현실이 쉽게 바뀌지는 않았어요. 그러던 어느 토요일 오후, 저는 모두 퇴근한 사무실에서 창밖을 내다보다가 갑자기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그래, 보고는 문서를 작성하는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 상사가 사단장님 앞에서 하는 거잖아.’
그러고 나서 필자는 그때까지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던, ‘상사가 사단장님에게 보고하는 장면’을 떠올려 보기로 했다. 예전에 필자가 작성한 문서를 보면서 보고 장면을 구체적으로 상상해 보았습니다. 그제야 제가 참 보고하기 어렵게 문서를 써 놓았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얼굴이 화끈거렸죠. 돌이켜 보면 제 인생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순간이었고 그날 이후로 기획력이 급상승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 문서나 일이 최종적으로 소비되는 장면을 상상하니까 상사가 무엇을 물어볼지 너무 잘 보이는 거예요. 빨간펜으로 제 문서를 긋지 못하고 상사가 물어보는 것을 미리 준비해 답하는 제 모습을 보면서 통쾌한 느낌도 들었어요.
어찌 보면 그날의 깨달음이 저를 완전히 바꾸어 준 것 같아요. 그 뒤에 IMF가 와서 취업이 어려워 8 대 1의 대학원 진학 경쟁을 뚫을 때도, 대학원 졸업 시 취업을 할 때도 제 문서를 읽고 있을 교수님, 면접관들을 상상하며 그들이 느낄 느낌들을 생각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가 대학원 졸업을 하고 28세 회사 생활을 시작했지만, 32세에 첫 책을 쓰고, 34세에 상장사 인사팀장이 된 것에도 이 관점을 바꾸어 상상해 보는 기획력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제가 원래 하던 인사 업무를 넘어, 경영기획, 재무, 투자유치, 마케팅, 영업까지 다양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스타트업을 성장시키는 일을 했을 때도 남들과 차별화된 역량은 기획력이었습니다.
제가 바꾼 것은 인사정책을 저희 회사의 서비스로 바꾸어 그 서비스를 쓰는 고객들의 장면을 상상하면 고객이 원하는 것, 두려워하는 것들이 잘 보이고, 그에 맞게 제안하고 고객을 설득하면서 250여 개의 회사 영업을 성공시켜 B2B 플랫폼 서비스로 잘 자리매김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이들이 기획력이라고 하면 자신과 거리가 있고, 그건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우리는 매일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을 자신도 모르게 하고 있습니다. 기획이라는 것이 꼭 문서로만 되는 것이 아니고 말이나 대화로도 되는 것이어서 성공의 필수요건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 같아요
많은 회사들이 인재상으로 1) 문제 해결/창의력 2) 소통/협업 능력 등을 꼽고 있는데, 여기서 문제 해결/창의력의 다른 말이 바로 ‘기획력’입니다. 기획력을 기르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아요.
고문관이었던 저도 기획력을 통해서 다양한 IT기업을 성공시키는 조직 구축도 해보고, 스타트업도 성공시켜보고, 13권의 책을 쓴 작가가 되어 보기도 해서 지금 이 글을 읽는 분들도 꼭 기획력을 키우길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그리 어렵지 않으니 제가 공유하는 노하우를 참조하셔서 본인에게 맞게 조금씩 조금씩 적용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것 같아요.
글ㅣ이윤석 GS ITM 인사실 상무
다양한 조직을 성장시키는 Value Creator이자 HR전문가이다. 리더십, 공통역량 분야 13권의 책을 출간했으며 현재 IMM인베스트먼트 Value Creator로 GS ITM을 성장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신입 때 키운 기획력이 동기보다 5년 앞선 커리어를 만든다
프리랜서가 사는 세상
신입 때 키운 기획력이 동기보다 5년 앞선 커리어를 만든다
일의 결과를 바꾸는 협상법
신입 때 키운 기획력이 동기보다 5년 앞선 커리어를 만든다
신입 때 키운 기획력이 동기보다 5년 앞선 커리어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