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랜서 프로젝트 선택 가이드
프리랜서가 사는 세상
인간의 삶에서 커뮤니케이션은 타인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핵심 기제입니다. 특히 프리랜서 VS 클라이언트의 미팅에서 이루어지는 거라면 소통 그 이상의 존재감을 발휘하는데요. 나에게 진짜 맞는 프로젝트인지 확인해서 이슈 발생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미팅 가이드는 무엇일까요? 효율적인 소통을 위한 미팅 가이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프리랜서 세상에 첫걸음을 내디딘 분은 물론이고 다양한 이력을 가진 분까지. 프로젝트에 지원하고 나면 계약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바로 ‘클라이언트와의 미팅’이죠.
프리랜서는 1인 기업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미팅을 통해서 이 프로젝트가 정말 나의 포트폴리오에 도움이 되고 내가 현실적으로 잘 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미팅을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계약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고요. 때론 계약이 성사되더라도 작업 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요.
이슈를 최소화하기 위한 미팅 가이드를 숙지한다면, 아주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줄 겁니다. 그렇다면 어떤 부분을 준비해야 할까요?
클라이언트와의 미팅도 프리랜서에겐 비즈니스죠. 그러니 미팅에도 매너가 필요합니다. 첫째도 시간! 둘째도 시간! 셋째도 시간! 처음 만나는 자리에 늦는다면 좋은 이미지를 심어 주기 어렵겠죠? 시간은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적인 부분입니다.
그리고 “지피지기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물론 클라이언트가 싸워서 이겨야 하는 적은 아니지만요. 나에게 유리한 계약을 성사시켜야 하는 자리인 만큼 상대 회사와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자세하고 정확하게 알고 나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미팅 자리에서 기억하고 체크해야 할 것은 더 많습니다. 먼저 숫자와 관련해서 아래 세 가지를 꼭 확인하세요.
적절한 견적은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지원 당시 공지됐던 것보다 업무량이 많거나 클라이언트의 준비가 부족해서 소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할 경우에는 비용을 추가해서 더 많은 견적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죠.
ex)
check point)
계약 후 업무를 시작하게 되면 오롯이 나 혼자 진행하는 프로젝트인지, 내부에 협업자가 있어서 함께 일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협업자가 있을 경우 그들이 외부 프리랜서와 작업한 경험이 있는지도 알아보세요.
프리랜서의 근무 형태는 다양하지만 크게 상주와 비상주인 원격 업무가 있습니다. 원격으로 작업을 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혹은 내부 협업자들과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는지 미리 체크해야 합니다. SNS나 E-메일이 유일한 수단이라면 소통에 어려움이 따를지도 모르거든요. 그리고 집중해서 일해야 하는 주요 근무 시간대가 언제인지 확인하세요. 24시간 내내 수시로 연락이 오는 경우는 미연에 방지해야 하니까요.
쉽게 말해 계약 전 사전 미팅은, 프리랜서와 클라이언트를 이어주는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만남을 통해 우리는 의뢰인과 내가 소통의 결이 맞는지 확인하는 거죠. 만약 소통 자체가 어렵다면 계약을 과감히 포기하는 것도 능력이라는 걸 기억하세요! 이렇게 미팅을 하면서 나눈 대화들과 체크한 사항들은 클라이언트와 합의를 거친 뒤에 계약서에 반영이 되는데요. 미팅 때 합의한 내용들이 달라지지 않도록 남겨두는 센스 역시 필수입니다.
진짜 나의 포트폴리오에 도움이 되는 프로젝트인지, 미팅은 언제 어디에서 해야 할지, 미팅 전 회사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은데 쉽지 않을 때,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합당한 것인지 헷갈릴 때, 산정된 견적이 업무에 적당한 견적인지 알 수 없을 때, 미팅 당시 합의한 사항들을 기억하기 어려울 때! 1인 기업인 프리랜서는 고민에 빠지게 될 텐데요.
걱정 마세요. 여러분을 위한 원티드 긱스의 매칭 서비스와 매니저가 존재하니까요. 오직 프로젝트를 위한 프리랜서 전문 매니징 플랫폼 원티드 긱스는 아래 링크를 통해 만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오늘 알려드린 미팅 가이드처럼, 프리랜서 세상을 살아가는 여러분을 위한 다양한 꿀팁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글ㅣ이소연
이소연 님은 <배철수의 음악캠프>를 시작으로 <홍진경의 두시>, <김원준의 라디오스타>, <듀에토의 더클래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DJ의 말을 썼습니다. 그리고 공연을 구성하고 MBC아카데미에서 라디오 작가를 양성하면서 카피라이터로 활동하는 등 타고난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살고 있습니다.
프리랜서가 사는 세상
스타트업 HR을 말하다
스타트업 HR을 말하다
일의 결과를 바꾸는 협상법
스타트업 HR을 말하다
프리랜서가 사는 세상